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2014년 세월호 사고와 2015년 메르스 사태는 위험관리와 국가의 역할에 대하여 다양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 압축 성장과 매우 빠른 정보화는 다양한 기술위험에 우리 사회를 노출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는 사회적 노력은 이제 겨우 인식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최근에 위험은 점점 더 사회적 성격에 좌우 되는 모습을 한다. 예컨대 방폐장과 같은 위험 시설의 입지를 반대하는 주민들은 ‘과연 얼마나 위험한가(기술적 문제)’보다는 ‘정부나 산업을 믿을 수 있는가?(신뢰의 문제)’, ‘내가 가진 재산의 가치가 떨어지지 않을까?(경제적 문제)’, ‘왜 하필이면 내가 위험부담을 져야 하나?(형평성의 문제)’ 등 사회적 문제들을 가장 큰 관심의 초점에 두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에서 위험에 대한 의사소통을 의미하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매우 간과 되어왔다. 이제 실제로 복합적이고 체계적인 범위에서 위험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위험에 관한 결정은 기술적인 것이 아니라, 가치 지향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은 위험과 관련한 제행위자 간에 가정된 피해 즉, 위험요인에 대해 인식을 공유하는 소통과정으로 규정할 수 있다.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전문가집단(기업과 연구자 집단), 언론, 일반시민은 핵심적 행위자로 작동하고, 정부는 일반적으로 규제적 행위자로 참여한다. 하지만 사회가 복합적으로 변화되면서 주요 매개자 역할을 담당하는 언론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왜냐하면 사회가 합의적인 사회구조로 급격히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미디어 관련 부분은 핵심적인 분야가 되고 있다. 그 이유는 최근에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다루는 이슈인 위험인지, 위험관리, 위험행태, 그리고 위험수용 등에 관한 문제들이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사회에서 위험 의사소통이 매우 빈약하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인식은 매우 낮고, 공중은 과학적 지식에 취약한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그로 인해 정보의 통제나 왜곡이 일어나고, 이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저항이 거세어져서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지불되도록 한다. 최근의 여러 사건에서 우리는 이것을 체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고비용의 지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국가기관은 위험관련 정보를 제공하면서, 정보제공자는 도구적 목적에 치중하였고, 단순히 그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묻는 원인 제공차원에 집중하면서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전반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는 모든 합의 과정의 실패로 연결되었다. 구미 불산 사고, 밀양송전탑 건설, 여수 기름 유출 사건, 세월호, 메르스 사태 등에서 보듯이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가 대단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위험대응패러다임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위험커뮤니케이션을 회복시켜야 한다.
우리나라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위험은 비생태계적인 시스템의 고립화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우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총체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키우는 것이다. 이는 곧 정치적 차원에서 참여민주주의를 확대하고, 사회적 차원에서 모든 사람들이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조직의 의사결정과정이 투명해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겠지만, 우선 전문가, 정부가 변화해야 한다. 공중은 위험에 대해 비합리적이거나 잘못된 인식을 가진 것이 아니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는 부분을 이해하는 등 과학자들은 공중의 인식방법을 그들의 눈높이에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즉, 대중을 단순히 설득의 대상이 아니라 위험 문제를 같이 해결하고 풀어나가야 할 파트너로 인식하는 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상호이해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과학자들과 대중이 자주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하며, 필요한 시점에 대중이 원하는 적정한 정보가 공개되어야 한다. 

 

송해룡 교수
신문방송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