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최근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진 일련의 사태를 겪으면서 언론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언론 덕분에 모르고 지나갈 수도 있었던 중요한 사안을 알게 되었고 사법부의 판단을 거쳐 결론짓는 과정에 이르렀다. 바른 세상을 향한 취재와 보도가 이끌어낸 유효한 결과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 언론의 공정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 것도 사실이다. 언론사들이 각자 원하는 방향의 정보만 부각시켜 객관적 판단체계를 호도했다는 주장이 무성하다. 탄핵 찬성파와 반대파 모두 자신들에게 불리한 정보를 전파시킨 언론사를 강하게 비판하며 공정성에 회의감을 배가시켰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드러난 언론보도에 대한 의구심 해소를 위해 새로운 관점과 발상을 숙고할 필요가 있다.
보도의 공정성은 원론적으로 매체 이해관계자의 공정한 마인드가 전제되어야 하지만 결코 쉽지 않은 조건이다. 사람들의 윤리적 판단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있다. 윤리학 전공 교수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 37% 만이 원칙을 절대적으로 준수한다고 응답하였다. 27%와 22%가 각각 실용주의와 미덕주의를 따르며 나머지 14%는 특별한 판단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한다. 사람들이 올바른 기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게 높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물론 언론 관계자가 직업의식을 갖고 공정한 보도를 위해 노력하겠지만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장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다행스럽게도, 공정한 언론문화 정착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산업혁명 4.0 시대가 다가왔다. 정보와 지식의 초연결 혹은 초지능화가 보편화 되면서 데이터의 규모, 공유 영역, 그리고 가시화 측면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고 있다. 어떤 사건이든지 엄청난 분량의 정보 창출이 가능하며 시각적 표현을 곁들여 실시간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신속하고도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가짜뉴스까지 등장하여 정보의 정확성을 저하시키는 부정적 요인도 나타났지만, 정보통신 기술 혁신을 공정한 언론 보도의 기반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이다.
산업혁명 4.0 시대의 언론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도에 대한 책임품질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정보품질을 담보한다는 관점으로 취재, 보도, 후속 조치가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정보원의 추적성을 공개해야 한다. 실제 추적 여부는 상황에 따라서 다르며 법적 권리에 해당된다. 그러나 정보 제공자는 어떻게 추적될 수 있는가를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시청자나 독자에 대한 책임을 보증해야 한다. 자신들이 제공한 잘못된 정보에 따른 후속 의사결정의 손실에 대한 보증체계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언론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사전에 공유해야 한다. 자동차가 연비를 공개하고 가전제품 역시 에너지효율과 화상도 등 품질의 수준을 제공하듯이 매체 역시 객관적 비교가 가능하도록 각사 언론보도의 정확도 및 신뢰도 척도에 대한 이력을 공개해야 한다. 소비자가 과거의 실적을 인지하고 신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들 모두가 과거에는 불가능했지만, 산업혁명 4.0 시대이기에 가능한 발상이다. 새로운 관점에서의 언론 기능의 객관화가 언론사의 신뢰향상은 물론 언론의 가치 극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