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창작자와 향수자 사이에 문화예술정책이 있다고 본다면 향수자의 요구가 정책에 반영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분야에 비해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의 시선은 상당히 관대한 편이다. 창작활동에 대한 지원정책을 예로 들어보면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문예진흥원의 지원금은 모두 국민의 세금 또는 모금으로 조성한 돈이다. 그러나 그러한 기금이 어떤 방식으로 지원되고 있고, 그 결과가 어떠했는지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은 극히 드물다.

공익자금과 모금을 통해 조성한 기금을 개인이나 단체에게 지원하는 이유는 창의적인 작품을 통해 향수자들의 삶이 질적으로 향상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금을 받게 되는 개인이나 단체는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는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 기금 수혜자들이 지원의 취지에 대해 인식을 달리 하거나 또는 자신들의 책무를 게을리할 경우 그 결과는 고스란히 향수자들에게 돌아온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엄격하고 공정한 심사가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그와 함께 요구되는 것이 바로 향수자들의 관심이다.

특히 젊은층의 관심은 우리 문화예술의 미래와 직결되기 때문에 더욱 절실하고 소중하다. 우리 대학 근처에 위치한 대학로의 공연물들을 예로 들어보자. 그 중 적지 않은 수가 기금을 지원받은 작품들이고, 홍보물과 입장권 등에는 지원사실이 명시되어 있다. 훌륭한 작품이니 지원받았을 것이라는 선입견에서 벗어나 이러한 작품들이 과연 창의적이고 우리들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지 주시하고 의견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지원의 동기와 창작태도 또한 꼼꼼히 따져볼 일이다. 이러한 관심은 최종적으로 지원의 혜택을 받아야 할 향수자로서 자기 권리를 찾는 행위이기도 하다.

공적 기금을 지원받는 경우 수혜자인 창작자는 무엇보다도 책임과 봉사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만약 자신의 활동 목표가 그러한 책임과 봉사에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면 당연히 수혜를 포기해야 한다. 이는 대중성과는 별개의 문제이며 오히려 공공성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 동안 공적인 지원을 받은 문화예술활동들이 일방통행을 해왔던 것은 아닌지 의문을 가져볼 시기이다. 향수자들의 적극적인 태도가 곧 우리 문화예술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되새겨봐야 할 것이다.

송선호 예술학부 겸임교수
연극연출가
공연제작사 Labo C.J.K. 공동대표
<바라데기>, <엘렉트라>, <오레스테스3부작> 등 연출
'희곡낭독연구회' 운영위원으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