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네가 사회생활을 안 해봐서 그래. 사회는 그런 곳이 아니야.’ 갓 사회생활을 시작한 초년 직장인들은 직장에 적응한다. 직장에 적응한다는 것은 그 회사의 분위기를 익히고 업무를 배우는 것을 말한다. 때로는 직장 내 부정한 모습도 분위기를 보며 함께 맞춘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나의 목소리를 잊어버리고 조직의 목소리에 하나가 된다. 국민과 소통해야 하는 정당, 그리고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켜줘야 할 언론마저 이렇다면 민주주의에도 큰 위기가 올 것이다. ICT의 발전으로 뉴미디어의 시대가 도래했다. 유튜브를 통한 개인방송은 민주주의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개인방송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가 다양해졌다. 거대 정당은 두세 개로 압축된다. 이 적은 숫자의 정당이 국민의 여론을 형성하고 국민을 대변한다. 우리나라의 정당은 권위주의 문화가 남아있고 탑다운 방식의 보수적인 조직 구성을 한다. 국민들은 정당 내 비민주성에 대해 불만이 있다. 반대급부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정치인들의 여과 없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유시민, 홍준표뿐만이 아닌 김제동, 김어준 등 여러 인사의 렌즈가 국민에게 다가서고 있다. 하나의 사건을 두고도 다각도의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이는 기존에 있는 적은 숫자의 렌즈보다 진실을 전달할 수 있는 좋은 현상이다.

뉴미디어는 직접민주주의 달성에 매우 적합한 수단이다. 실시간 댓글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다. 때로는 논쟁을 벌이기도 하고, 호응하기도 한다. 민주주의의 목표인 직접민주주의 실현에 한 발짝 다가선 것이다. 실제로 국정농단 사건 때, 네티즌들이 실시간으로 김기춘의 위증을 밝혀내는 성과를 보이기도 했고, 사회의 많은 이슈 현장을 직접 소통하거나 의견을 개진하며 국민들과 생각을 빠르게 공유할 수 있다.

가짜뉴스를 막는 비용보다 뉴미디어를 통한 소통의 효용이 더 크다. 가짜뉴스 때문에 피해를 보는 것은 큰 문제다. 하지만, 국민들의 교육 수준은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시각에서 정보를 접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가짜뉴스에 대한 분별은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법적 수단으로 가짜뉴스 피해자들의 대처도 가능하다. 신재민 전 사무관은 정당 혹은 언론이 아닌 유튜브를 통해 정부 내 부정을 폭로했다. 뉴미디어의 발전을 통해 보수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국민이 알아야 할 정보를 제공하는 창구가 열렸다. 오히려 가짜뉴스는 개인방송 규제가 아니라 정당의 네거티브 전략과 기존 정경유착 등의 문화가 없어져야만 사라진다.

‘주권재민’. 나라의 주권은 국민이 갖고 있다. ICT의 발전으로 국민 누구나 본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고 단순한 투표권 행사가 아닌 진정한 참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뉴미디어 정치가 이제 걸음마를 시작했다. 우려보다 이성적인 국민을 믿고 다양한 목소리의 창구를 여는 좋은 기회가 왔음을 인지해야 한다.

조정문(행정 11)
조정문(행정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