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우수진 (waterjean@skkuw.com)

시대·지역별로 다양한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이 발전해

한국의 재생산 노동과 여성 노동 시장을 분석하는 데 유효

 

오늘날 다양한 페미니즘 흐름이 공존하는 가운데 각자의 의제를 공유하며 그 어느 때보다 많은 페미니즘 이슈가 양산되고 있다. 마르크스가 바라본 여성해방을 이론으로 정립한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도 그 가운데 하나다. 한편 페미니즘 흐름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이슈에 대한 이해도를 한층 높여준다.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다른 흐름과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을까.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에 관해 여성문화이론연구소(이사장 이은경) 배상미 편집위원에게 물어봤다.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지역과 시대마다 다른 흐름으로 발전했다. 이렇게 형성된 흐름은 방대하기 때문에 주목할 만한 흐름을 선택적으로 바라봐야 한다. 대표적인 사건이 1960~70년대에 성장한 이탈리아의 가사노동파업이다. 1960년대 프랑스에서는 학생과 노동자를 중심으로 권위주의와 같은 기존의 사회질서 전반에 대한 저항을 목표로 하는 68혁명이 일어났다. 이러한 68혁명 이후 마르크스주의를 다양하게 해석하려는 유럽 내의 움직임 속에서 이탈리아에서도 다양한 사회개혁이 일어났다. 그 중 하나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가사노동파업이다. 이탈리아의 페미니스트인 마리아로사 델라 코스타는 여성에게만 가족 돌봄, 가사노동과 같은 재생산노동이 의무화되고 이런 노동이 교환가치를 생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가치 없는 일로 치부하던 당대의 인식구조에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이러한 페미니즘과 궤를 같이하며 발전한 페미니즘으로 에코 페미니즘이 있다. 이들은 환경파괴가 여성억압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인도의 칩코 운동이 대표적인 예시다. 칩코 운동은 인도의 삼림을 터전으로 살아가던 여성들이 이 지역의 개발을 위한 벌목을 막기 위해 여성들이 나무를 껴안는 방식으로 전개한 사회운동이다.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과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닮은 듯 다른 모습을 보인다.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18세기부터 형성된 오래된 역사를 가진 페미니즘 흐름이다. 이들은 여성 참정권 운동을 진행하는 등 여성이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할 권리와 사회에서의 여성 권리 제고를 주장했다. 기존 사회 체제 내에서 여성의 활동 영역을 넓히자는 이들의 주장은 자본주의 체제의 완전한 전환을 요구한 마르크스주의와 어긋나는 듯 보인다. 특히 두 페미니즘 흐름이 공존했던 20세기 초반에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이들이 지배계급의 주도로 형성된 부르주아 페미니즘이라고 비판하며 노동계급 여성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논해야 한다고 봤다. 

그러나 이 두 흐름 사이에 공통점이 전혀 없지는 않다. 여성 할당제에 관한 의견이 예시다. 여성 할당제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이 이뤄낸 주요한 성취 중 하나로 대부분 남성들이 차지하는 사회 지도층의 위치에 여성이 일정 부분 이상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화한 것이다. 실제로 과거 소비에트연방의 경우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은 분야에 여성이 참여하는 제도를 만들어 여성의 사회 및 정치 참여를 독려했다. 


사회주의 페미니즘과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차이점이 있다면. 
엥겔스를 기반으로 둔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 형태인 일부일처제의 제도화와 함께 사적 소유 관념이 형성되며 여성 억압이 심화됐다고 인식한다. 이들의 논리에서는 사적 소유가 여성 억압을 바라보는 것의 핵심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적 소유의 폐지와는 별개로 성별 위계관계를 지속시키는 성 역할과 같은 통념은 가정 혹은 사회 내에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20세기 중후반 미국과 서유럽의 노동조합 운동으로 이러한 통념을 확인할 수 있다. 마르크스주의적 경향을 가졌던 중공업 정규직 노동자 위주의 노동조합 운동은 남성을 생계부양자로 하는 모델을 중심으로 가족임금을 요구하였다. 그 결과 여성 노동자 등의 불안정 노동자의 이해관계는 적극적으로 대변되지 못했다. 

한편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가부장제를 가족과 사회 전반을 구조화하는 여성 억압의 원인으로 지목한다. 일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사적 소유라는 개념으로 해결할 수 없었던 여성 사회문제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가부장제를 고려대상으로 보기 시작했다.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를 여성 억압의 핵심 요인으로 삼는 사회주의 페미니즘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들은 자본주의 비판과 가부장제 비판을 중심으로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모순을 분석하고 저항했다.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이 있다면.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재생산 노동을 재조명 했다는 성취를 이뤄냈다. 특히 오늘날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사람들이 집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가사 노동과 돌봄 노동 시간도 증가했다.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가정 내에서 주로 여성에게 강제되는 이러한 노동을 ‘노동’으로 바라보는 토대를 마련했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당연시됐던 여성의 노동을 사회적으로 논의해야 할 의제로 상정한 것이다. 이러한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은 가정 내의 여성 노동뿐만 아니라 시장화된 가정 내 노동이 대부분 불안정 저임금 일자리로 평가받는 현재 사회에도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 
 

인도 가르왈의 여성들이 나무를 껴안아 베어내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인도 가르왈의 여성들이 나무를 껴안아 베어내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새마갈노 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