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최근 이공계 위기라는 말을 흔히 듣는다. 고등학교 학생들 중 자연계 학생의 수가 감소하고, 이공계 대학원 석·박사 과정이 최근 계속 정원 미달이 될 정도로 대학원이 매력적이지 않고 그 결과 이공계 연구인력이 부족한 것을 두고 하는 말인 듯 하다.

이에 지난 11월 20일에 과학기술부 장관, 여야 4당 정책위 위원장, 청와대 정보과학기술 보좌관, 국가과학기술회의수석간사, KIST 및 민간 연구소 원장, 언론인 등이 모여 “이공계 살리기” 정책 심포지움을 가졌다. 또한 26일에는 전국 이공계 대학장들이 모임을 갖고 “이공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건의문을 발표하기까지 이르렀고, 대략 다음과 같은 대책을 내놓았다. 첫째, 행정부, 입법부, 산업계, 학계, 연구계를 망라한 비상협의체를 구성하여 각 분야의 의견 수렴, 둘째, 여성인력의 활용 등 중장기적인 인력대책 수립, 셋째, 현행 대학 체제와 대학입시 제도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 넷째,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뿐 아니라 대학에 기업이 투자하도록 유도하는 정책, 다섯째, 과학기술인 연금제도 및 장학생 수혜 확대, 기숙사 시설 확대, 병역의 대체 근무제도 마련 등이다. 이처럼 정부나 각계에서 제시한 이유와 대책은 다양하다.

그러나 이런 정책과 대책들이 젊은이들의 마음에 와닿지 않는다는데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젊은이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그들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국이 IT강국으로 급부상하고, 세계 시장에서 1등을 차지하는 제품을 몇 개나 가지게 된 것은 70∼80년대 우수한 학생들이 이공계를 지원하였고 자연계 각 분야에서 연구 개발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우리가 제조업 수출로 도약을 이룬 배경에는 묵묵히 땀흘린 이공계 출신 엔지니어들의 노고가 있다. 그러나 오늘날 엔지니어들은 현장노동자들 보다도 심한 고용불안을 느끼고, 이민을 꿈꾸기까지 한다. 학창시절 몇 년 더 고생함으로써 확실한 직업이 보장되는 의대, 한의대, 약대 졸업생들과 매우 대조적이다.

대부분의 이공계 출신자들은 학생시절에 이공계가 좋아서 선택을 한다. 과학자나 기술자가 되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인생을 살고 싶은 욕구를 충족하고자 이공계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이공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할 것은 당장 눈앞에 보이는 2, 3년의 병역혜택이나 장학금 등이 아니다. 마음껏 실험하고 연구개발할 수 있는 작은 자리 하나, 자신의 제품이 활용되는 것을 맛보는 기쁨, 그런 것이다.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에 국내 박사학위 소지자들이 외국 박사학위 소지자들을 제치고 대학 교수로 부임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이공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대학의 책임도 있을 것이다. 우선 기성 과학기술자들이 이공계 젊은이들의 존경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기성 과학기술자들이 젊은 시절의 순수한 마음을 잊지 않고, 진정 과학과 기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노력할 때에 젊은이들은 그들을 따르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