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교과특성 살리지 못해 교수이수 희망자 불만 높아

기자명 안상준 기자 (mindmovie@skku.edu)

비사범대 교직이수 과정이 학우들의 관심과 높은 경쟁률에도 불구, 각 교과별 특성을 무시한 운영방식으로 학우들의 불만을 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일부과목 합반운영과 높은 자격기준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이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필수교직이수과목인 ‘교과교육론’,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의 경우 수강신청 시에는‘영어 교과교육론’,‘공통사회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등과 같이 각 교과별로 강좌가 설치돼 있으나, 수업은 각 교과의 이름을 무시하고 강제 합반돼 운영되고 있다. 학교측에서는 ‘증명서에만 영어 교과교육론 이수라고 찍히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식으로 말하고 있지만, 학생들은 ‘이는 대표적인 행정 편의주의’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는 비단 본교뿐만이 아니라 고려대, 이화여대 등 타 대학에서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관련 김은수(중문3) 양은 “수강신청시에는 관련된 설명 하나 없다가 막상 수업에 들어가니 각 교과의 특성에 상관없이 강제 합반이 돼 있었다”며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님들마저 수강신청을 한 학생들을 속이는 이 같은 커리큘럼에 비판을 가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경훈 전 생활과학부·사범대학 행정실(실장:송재경) 과장(현 학생지원팀 과장)은 “각 교과가 나눠져 수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학교측도 원칙적으로는 공감하고 있다”며 “하지만 강좌의 효율성과 교육비용 등의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해볼 때, 각 과목별로 수업을 나눠 진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라고 밝혔다.

교무팀(팀장:이정석) 백승수 계장 또한 “예를 들어 ‘중국어 교과교육론’의 경우, 과목의 특성보다는 ‘교과교육론’이라는 이름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사범대학이 아닌 종합대학에서 각 교과의 특성까지 고려해서 인력을 수급하는 일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라며 난색을 표했다.

하지만 교육인적자원부(부총리 겸 장관:안병영, 이하:교육부) 교원양성연수과 김운정 교육연구사는 “1명이든, 2명이든 학생들의 교육권을 위해 각 교과별로 ‘교과교육론’강좌가 이뤄져야 함은 당연한 일”이라며 “각 대학들이 인건비 절약을 위해 교육부의 규정을 무시한 체 편법을 쓰고 있다”고 각 대학들의 행태를 비판했다.

또한 학생들은 높은 교직이수 학점과 기준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개정된 7차교육과정에 따라 비사범대 학생들은 △교직이론 7과목(15학점) △교과교육 2과목(4학점) △교육실습 1과목(2학점) 등 21학점을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 하지만 3학년 1학기가 돼서야 교직과목을 수강할 수 있기 때문에 교직이수를 하는 학생들은 남은 2년 동안 타 학생보다 21학점을 더 이수해야 한다는 부담이 발생한다. 물론 교직이수를 위해서는 전공과목 42학점에 교직과정에서 요구하는 해당과목을 반드시 포함해 이수해야 한다.

게다가 교직이수를 마치고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교육부가 자격 기준으로 명시한 ‘80점 커트라인’을 넘겨야 한다. 평균점수 80점을 본교 평점 기준(4.5점 만점)으로 환산해 보면, 평점 3.0에 해당된다. 즉, 교직이수자들은 전공과목과 교직과목 모두 평균적으로 B학점 이상 받아야 한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 송진향(물리3) 양은 “본교의 경우 2학년이 돼서야 전공수업을 처음으로 듣기 때문에 전공학점을 채우기에도 시간이 벅찬 편”이라며 “전공학점을 완전히 이수하지 못한 체로 21학점에 달하는 교직이수를 신청하면 불가피하게 졸업이 늦어지게 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김 교육연구사는 “학교별로 전공 배정 시기가 각각 다른데, 이 같은 사정을 행정당국이 다 고려하기는 어렵다”며 “우수교원 양성의 책임이 있는 행정당국으로서는 이수학점과 교직 허용점수 등의 교직이수 규정을 현재보다 완화시킬 수 없다”고 밝혔다.

교직이수는 고학력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는 요즘 안정적인 직장을 보장받을 수 있는 길이라는 점에서 인기가 높지만, 현 제도 속에선 교직이수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불만만 쌓일 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당국과 학교측이 행정편의주의를 버리고 교직이수제도 재정비에 나서야 한다. 그래야만 교직이수제도가 학생들을 위한 제도로서 제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