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 내고 추억과 욕정을 뒤섞고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 라는 에리어트의 시구처럼 대선에 이어 총선으로 이어지는 ‘폴리페서(polifessor·정치교수)’의 계절이 찾아왔다. 폴리페서는 정치(politics)와 교수(professor)의 합성어이다. 이 는 교수가 총선이나 정치참모에 나서는 ‘직접형‘과 자신의 견해를 드러내 특정 당과 특정 후보를 돕는 ’간접형‘ 폴리페서가 있다.

정치와 종교의 분리원칙처럼, 정치와 대학 강단을 분리하자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교수의 현실정치 참여는 정책의 전문성과 학문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긍정의 측면도 있다. 그러나 정치에 참여를 결정했다고 하면 대학의 적을 정리하고 정치에 열정을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치에 실패했을 때를 대비 보험용으로 강단에 적을 두는 태도를 갖고 있는 교수가 많다는 것이 문제다. 현재 교육공무원법상 총선에 낙선 후 복직신청만 하면 다시 교수가 될 수 있으며, 당선되면 자동적으로 휴직이 된다.

폴리페서의 등장은 15대 총선에서는 52명, 16대 55명, 17대에는 72명 이번 18대 총선에는 49명의 교수 출신의 출마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청와대의 수석 이상 9명 중 7명이 학자 출신이고, 각료에 진출한 교수도 어느 때보다 많았다.

학생들의 수업권을 무시한 채 정치권에 뛰어드는 이른바 ‘폴리페서’ 중에는 사실상 직업 정치인이면서 교수직을 액세서리 정도로 여기는 이들이 적지 않다. 문제는 정치권에 관심이 있으면 교육은 물론 연구도 소홀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일차적으로는 학생에게 피해가 가고 이차적으로는 전체 교수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강의 소홀과 부실한 강의로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피해가 가고, 전체교수들과 대학의 분위기도 정치성향화 되어가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수의 정치참여에 일정한 가이드라인과 윤리 지침이 필요하다. 교수가 자신의 직분을 잊고 대학 강단을 자신의 정치 마당으로 이용하거나 연구와 강의에 소홀히 한다면 이것은 더 심각한 문제다. 나아가 정치참여 교수는 학생들을 자신이 몸담고 있는 캠프의 정치 행사장에 동원하거나 수업 시간을 자신의 정치 성향을 밝히는 데 할애할 경우 문제는 심각하다. 교수의 정치적 욕망에 휘둘려 학생들이 피해를 입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폴리페서는 학문 충실도가 떨어져 학생들의 수업권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전체 대학사회가 정치판으로 흘러가는 것을 막아야하기 때문에 당사자 교수들이 직접 윤리규정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