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청용 기자 (hacar2@skku.edu)

생태마을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이를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를 두고 생태마을의 오해를 풀고 진정한 의미를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태마을’하면 자연과 함께 쉴 수 있는 휴양지 정도로 인식하기 마련이다. 실제로 ‘생태마을’이라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예쁘게 꾸민 펜션의 이미지가 무수히 검색된다. 그러나 사실 자연과 함께하는 삶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생태마을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주거건물,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바로 건축에 사용되는 자재종류. 펜션 한 채를 짓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폐인트는 상당한 양의 산업폐기물을 발생시킨다. 반면 생태마을은 나무나 철 같이 재활용이 쉬운 친환경 재료를 주로 활용함으로써 환경과 어울리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녹색연합 김경화 국장은 “생태마을과 자연을 즐길 수 있는 휴양지는 다르다”며 “생태마을은 인간의 생활을 생태적으로 전환하는 노력을 담아내는 곳”이라고 개념을 바로잡았다.

한편, 관광객 유치에 힘쓰는 일부 마을로 인해 생태마을이 관광지와 별 다를 바 없다는 오해가 확산되고 있는 것 역시 문제이다.  유료로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주말농장 분양만 하고 있는 생태마을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 생태마을의 이름이 상업적 용도로 이용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업화를 두고 환경운동연합 임지애 국장은 “이익을 취하기 위한 방향으로만 운영된다면 결국 생태마을은 일개 관광지로 전락할 뿐”이라며 생태 개념이 퇴색되고 있음을 걱정했다.

이렇듯 한계에 부딪치고 있는 생태마을을 더 옥죄고 있는 것은 친환경적 인식이 부족한 정부의 정책이다. 실제로 친환경적인 에너지 정책을 시행한다던 정부가 지난 4월 태양광 발전에 대한 지원금을 8~30%가량 줄이기로 결정하면서, 서천 산너울 마을이나 지리산 두레 마을처럼 태양열을 주요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생태마을이 재정상의 어려움에 처하게 됐다.

또한 현행 법이 생태마을에서 사용하는 친환경 배수 시스템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생태마을의 운영에 많은 장벽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런 현실적 제약에 대해 환경운동연합 최미혜 활동가는 “정부 관료들의 주요 관심사는 효율적인 업무수행일 뿐”이라며 “정책을 입안할 때 친환경적인 사고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관계당국을 비판했다.

현재 환경부는 녹색연합에 의뢰해 ‘생태마을 활성화 방안 연구’ 등의 보고서를 냄으로써 생태마을의 의의를 알리는 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실제로 생태마을 개선에 적용되는 사례가 드문 탁상행정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생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생태마을에 대한 올바른 개념과 친환경적 사고를 정립시키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