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진(경제07)

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연체료 7600원입니다.”

즐거운 작년 여름방학을 마치고, 오랜만에 학교에 돌아온 내가 처음 들은 말이 바로 이 말이다. 거의 책 한권 값이 내 손을 떠나갔다. 이런 경험을 나만 공유하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연체를 한건 내 잘못이다. 내 천성이 게으른 탓일 것이다. 하지만 “굳이 돈으로 해결하려는 게 바람직할까?”라는 의문이 든다. 이와 같이 학교행정에는 곳곳에 경제적 논리가 개입되어 있다.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경제적 유인, 아니면 손실이나 손해에 반응할 것이기 때문에 도서관 연체에 대한 제재수단도 금전적 유인으로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 방침이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충분히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더 좋은 대안이 있다면 바꿔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굳이 대학생의 빈 주머니를 야금야금 갉아먹을 일은 발생하지 않을 테니까.

 다른 대안이란 대다수 도서관이 채택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만약에 연체를 한다면 그 연체기간만큼 책을 대출받지 못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에 3번 이상 연체할 경우 1개월, 6개월 이렇게 가중되는 재제를 가할 수도 있다. 많은 학생들이 이런 제도를 도입할 경우 ‘시험도서나, 과제도서를 급하게 구해야하는데 못 빌리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지 않겠느냐’라는 불만 섞인 말을 늘어놓을 것이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 원인은 자신에게 있지 제도에 있지는 않을 것이다. 자신이 연체를 했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를 뿐이다. 오히려 이러한 방안은 금전적 인센티브를 이용한 벌금제도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연체율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각기 경제적 배경이 다른 학생들에게 같은 벌금제재를 가함으로써 상대적 평등에 위배되는 일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이를 바로 도입하자는 이야기는 아니며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다. 덧붙이자면 만약에 이 제도의 도입이 실제로 결정되더라도, 그에 이르는 논의과정이 충분히 공론화되어야 하며 많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또 학교와 학우간의 대화를 통해 별 탈 없이 제도화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