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최보윤 기자 (drboyoon@skkuw.com)
▲ 지난 20일부터 이틀간 사범대 선거가 진행됐다. / 김은솔 기자 eunsol_kim@skkuw.com

지난해 11월 단과대 및 특별자치기구 선거에서 회장단을 선출하지 못했던 △사범대 △유학대 △정보통신대(이하 정통대) △총여학생회(이하 총여)가 3월 보궐선거를 전후해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범대는 지난 20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선거에서 투표율 54.2%를 기록, 제44대 사범대 학생회 ‘ID’ 선거운동본부(이하 선본)가 찬성 90.14%로 당선됐다. 정통대 역시 제16대 정통대 학생회 ‘wake-Up!’ 선본이 출마해 오늘부터 3일간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반면, 유학대는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된 후보자 추천 등록 기간에 등록한 후보가 없어 보궐선거가 무산됐다. 총여의 경우 현재까지 정확한 선거 일정조차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불안정한 비대위 체제 … 불이익 많아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선거에서 회장단이 선출되지 못한 경우 구성되며, 비대위장은 일반적으로 전임회장이나 전임회장이 직권으로 임명하는 사람이 맡게 된다. 그러나 비대위장의 자격 조건이나 선출 방법에 대한 엄격한 규정은 없는 상황이다.
한편 비대위장은 학우들이 직접 선거로 선출한 대표자가 아니므로 운영상 불이익이 따른다. 인사캠의 경우 비대위장은 중앙운영위원회(이하 중운)에서의 의결권이 없다. 중운은 총학생회의 주요 사업을 논의하며, 학생회비의 단위별 배분안을 심의하는 의결기구다. 이한결(유동13) 유학대 비대위장은 “중운에서 의결권이 없어 아쉽다”며 “게시판 철거 문제로 행정실에 찾아갔을 때 비대위는 대화 주체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말을 듣기도 했다”고 전했다. 인사캠과 달리 자과캠의 경우 비대위로 운영되는 단과대는 중운 개회 정족수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이영준(고분자08) 자과캠 총학생회장은 “따로 참관 요청을 하지 않는 이상 비대위장을 중운에 참석시키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학대, 고질적인 후보군 부족
유학대의 경우 다른 단위에 비해 비대위 체제로 운영되는 일이 자주 발생해왔다. 지난 2012년 선거 당시 후보자 등록이 없어, 제29대 유학대 학생회 ‘Thank you;生儒’도 이듬해 4월 보궐선거를 통해 선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보궐선거에는 등록한 후보가 없어 비대위 체제가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이 비대위장은 “7월에 다시 보궐 선거를 진행할 수도 있다”며 “그때도 후보자가 나오지 않으면 다음 11월 선거까지 비대위 체제가 유지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러한 고질적인 선거 무산에 대해 이 비대위장은 유학대 학생 수 자체가 한 학년 당 40명 내외로 비교적 적은 데다, 선거 출마에 ‘4학기 이상 재학’이라는 조건이 걸려있는 점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그는 “차기 회장 후보군인 14학번 신입생들이 학생자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 앞으로는 유학대 회장단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총여, 이대로 설 곳 잃나
수년 전부터 일부 대학에서는 총여가 폐지되거나 다른 자치단위와 통합되는 절차를 밟고 있다. 우리 학교 인사캠 총여의 경우도 실질적으로 폐지된 상황이다. 2009년 제22대 총여 ‘Action!미미’ 이후 오랜 기간 비대위 체제가 지속돼오다 차기 총여 건설에 대한 제반 사항을 중운에 위임한다는 안건이 작년 전학대회에서 가결됐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자과캠 총여는 그동안 비교적 잘 유지돼왔으며, 지난 2학기 기준으로 학생회비의 2.4%를 배정받기도 했다. 그러나 현 비대위 체제에서 언제 보궐 선거가 이뤄질 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 자과캠 총학생회장은 “총여의 보궐선거 진행 상황에 대해 정식으로 전달받은 바가 없다”고 밝혔다. 이처럼 총여가 독립 단체로서 설 곳을 잃는 배경 중 하나에는 부실한 공약과 이에 따른 학우들의 외면이 있다. 지난해 제24대 자과캠 총여학생회 ‘여락’은 △게릴라 이벤트 진행 △여성용품 공동구매 △여학생 휴게실 개선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등 단편적인 복지 공약만을 내세운 바 있다. 신지혜(시스템13) 학우는 “총여가 무슨 일을 하는지 잘 모르겠다”며 “필요한 지에 대해서도 의문이다”는 생각을 전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학생자치에 대한 학우들의 관심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총여만이 진행할 수 있는 사업으로 학생들의 공감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