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최혜원 기자 (nanchoc09@skkuw.com)

기자가 읽은 책 - 『네 명의 완벽주의자』   

ⓒ YES24 홈페이지 캡처


행복한 완벽주의자가 되기 위해 현실적인 해결책을 적용해야
SNS에 전시되는 완벽한 모습과 이로 인한 상향비교를 멈춰야 할 때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줄이고 완벽주의를 강점으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네 명의 완벽주의자』에서는 완벽주의자들이 본인의 성향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정표를 제시한다. 『네 명의 완벽주의자』를 출간한 연세대 상담심리연구실 소속 김서영 연구원을 만났다. 

완벽주의의 정의가 학자마다 상이하다. 완벽주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미국의 심리학자 랜디 프로스트(Randy Frost) 교수는 완벽주의의 구성 요소로 총 여섯가지 특성을 정의했다. △실수에 대한 지나친 염려 △정리 정돈 습관 △부모의 비난 △부모의 높은 기대 △자신의 높은 성취 기준 △본인의 행동에 대한 의심이다. 그러나 연세대 상담심리연구실에서는 한국인의 경우 부모의 비난과 기대를 구분해 인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한국인은 기대를 투영한 비판이라면 일반적인 기대와 유사하게 인식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인의 완벽주의는 부모의 비난을 제외한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완벽주의자의 경우 각 요소 간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다섯 가지 요소 모두 완벽주의자가 아닌 사람들보다 높게 나타난다. 
 

책에서 나눈 네 가지 완벽주의자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가 가능하며, 어떤 해결책을 가지는가. 
책에서는 자기평가 소재와 자기조절 초점의 두 가지 기준을 이용해 완벽주의자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눴다. 유형별로 우울, 불안, 행복 수준 등 심리적인 경향에서 두드러지는 정서가 달랐다. 네 유형으로는 △눈치백단 인정 추구형 △스릴추구 막판스퍼트형 △방탄조끼 안전지향형 △강철멘탈 성장지향형이 있다. 그중 대학생이 가장 공감할 유형은 ‘눈치백단 인정 추구형’과 ‘스릴추구 막판 스퍼트형’이다. 눈치백단 인정 추구형은 탄탄한 인맥과 타인의 인정을 최고의 자원이라고 여기고, 자신의 욕구를 희생하면서까지 주변으로부터 더 큰 인정과 소속감을 얻으려는 유형이다. 해당 유형은 사교성이 뛰어나고 눈치가 빨라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우러지지만 정작 스스로는 잘 돌보지 못한다. 이들은 자신의 평판이 나빠지면 우울해할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외부로 향한 자기평가 소재를 내부로 돌리는 연습이 필요하다. 한편 스릴추구 막판스퍼트형은 해야 할 일을 미루다가 마감기한이 코앞에 닥쳤을 때의 위기감을 이용해 집중력을 보인다. 매사에 쫓기는 듯한 불안감을 느끼고, 스스로 낸 결과에도 만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본인이 게으르다고 질책하기보다 일을 잘하고 싶은 마음에서 현실을 회피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예상했던 업무 완수 시간과 실제 소요 시간과의 괴리가 크기 때문에 예상 시간과 실제 소요 시간을 기록하고 오차가 생긴 이유를 적는 등 현실적인 시간 감각을 키우는 연습이 필요하다.
 

완벽주의를 유발하는 사회적 요인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시각 중심의 SNS는 우리 사회에서 완벽주의가 심화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SNS는 자신의 가치를 숫자로 생각하게 하며 남들의 완벽한 모습만 비춰줘 자신보다 잘난 사람과 비교하는 ‘상향비교’를 조장한다. 관련 사례로 식이장애를 들 수 있다. 최근 홈 트레이닝과 바디프로필이 유행하며 건강하고 탄탄한 몸매가 이상적인 몸이 됐다. 이상을 맞추기 위한 열망이 자기 불만족으로 이어지고 결국 섭식장애를 유발한다. 미국에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SNS와 식이장애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SNS로 건강한 몸매를 본 후 느끼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만족감이 모델처럼 마른 몸매를 본 후의 불만족감보다 더 크게 드러났다. 정형화된 유행의 기준이 바뀌었을 뿐, 이제는 말랐지만 건강미가 있는 몸이 이상화되며 사람들의 심리적 박탈감이 커진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체형의 모델을 기용하는 등 미디어에서 다양한 신체상을 제시해줘야 한다.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를 시도하는 것도 해결책이다. SNS를 완전히 끊는 것보다는 지하철 이동 시간 동안만 SNS를 보는 등 명확한 이용 시간을 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디지털(digital)과 해독(detox)의 합성어. 전자기기, SNS 등의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도.


 

완벽주의 간이 심리검사 QR코드.
김서영 연구원 제공

 

어떤 일이 잘못됐을 때 완벽주의자 유형별 반응.
ⓒ 흐름의 책 공식블로그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