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올해 1월 한 검사의 성추행 폭로로 촉발된 미투(Me Too) 운동이 연일 사회 각 분야로 들불처럼 거세게 확산되면서 가해자로 드러난 권위자들의 추악한 민낯에 시민들은 충격과 분노를 금치 못했다. 더욱 참담한 것은 권력형 성폭력 행위들을 그렇게 오랫동안 방조하고 은폐해 온 가부장적 조직문화와 구조적 문제들이 아직도 사회 곳곳에 남아 있다는 것이다. 미투 운동은 우리 사회에서 오랫동안 다양한 형태의 권력에 의해 자행되어온 성폭력에 관해 피해자들이 용기를 내어 고발을 이어왔기 때문에 가능했다. 고통을 감수한 용기 있는 외침들이 헛되지 않으려면 몇몇 가해자들을 처벌하는데 그치지 않고 성차별 문화와 권력형 갑질을 뿌리 뽑아 달라진 한국사회를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투 운동의 주된 통로가 되고 있는 언론의 보도와 온라인 소통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드러나지 못했던 미투 운동 피해자들의 고통과 목소리를 사회에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언론은 적극적으로 취재하고 보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많은 언론이 연일 이어지는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의 미투 폭로 전문을 그대로 받아쓰고 피해자 신상을 공개하며 선정적 묘사를 포함하는 등의 부적절한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보도는 심각한 부작용과 2차 피해를 나을 수 있어, 일부 언론사에서조차 비판과 자성의 움직임이 시작될 정도로 심각하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이 한 달 동안 미투 운동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많은 경우 ‘성폭력 관련 언론 보도 가이드라인 및 준칙’을 제대로 따르지 않고 있다. 민언련 분석에서 첫 번째 언론 보도의 문제는 피해 사실에 대한 선정적, 구체적 묘사를 흥미 위주로 소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언론은 사생활 침해와 2차 피해 등을 고려하여 피해자가 쓴 글이라도 전부 게재하기 보다는 정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피해자, 폭로자의 신상 정보 부각도 문제이다. 미투 운동의 특성상 피해자들이 자신의 실명 혹은 얼굴을 공개하는 경우가 있어 신상에 관한 보도를 금지하기는 어려우나, 성폭력 사건 보도에서 피해자 신상은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 외에도 피해자에게 책임 전가, 가해자에게 온정적 시각을 부각시키는 경우, 부적절한 용어 사용, 정치적 목적 프레임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미투 운동 보도를 통해 언론이 조회 수를 올리는데 경쟁하고 여기에 악의적 댓글과 신상털기가 더해지는 현실이 매우 안타깝다. 인권을 지키기 위해 피해자들이 엄청난 고통을 무릅쓰고 참여하는 미투 운동 보도가 그들의 인격권을 다시 한번 침해하고 2차 피해를 주는 결과를 낳으면 안 될 것이다. 또한, 언론보도가 선정적 묘사와 특정 유명인 몇몇에 집중하면서 미투 운동의 효과를 무색하게 해서는 안 된다. 언론 프레임(frame) 연구에 따르면 개인에 집중한 에피소드 위주의 보도는 사건의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하게 하며 사회적, 정책적 고민과 토론을 저해하는 역할을 한다. 앞으로도 지속될 미투 보도와 관련해서 언론은 폭로 사례 각각을 흥미위주로 전달하는데서 벗어나, 우리 사회의 인권을 보호하고 양성 평등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어떠한 보도와 역할이 필요한지 진지하게 토론하고 고민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