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지난해 10월 연세대 정창영 전 총장 부인의 편입학 비리 연루 의혹 사건으로 온 나라가 떠들썩하였음을 기억할 것이다. 이 사건은 처음에는 의혹으로 끝나는가 싶었지만 결국은 모든 일이 사실로 밝혀졌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는 부랴부랴 수도권 13개 대학에 대한 특별감사에 나섰다. 교육부는 청와대가 서울 지역 사립대를 중심으로 편입학 비리 여부의 특별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건국대, 경원대,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단국대, 서강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등 13개 대학에 대해 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교육부의 실태 조사 결과, 모든 학교의 편입학 선발 과정에서 부정부패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립대들의 다수가 면접 성적 조작, 문제 유출 의혹, 교직원 동문 자녀의 부정 입학 등의 불법적인 행태가 드러난 것이다. 대표적으로 예시된 연세대의 경우 한 학생이 어머니가 교수직을 맡고 있는 학과에 합격했는데, 서류전형과 면접에서 특출한 점수를 받았다고 한다. 어머니는 편입시험 과정에도 일부 참여했다니 의혹이 의혹으로만 그칠 여지가 없어 보인다. 다른 예로는 합격된 후 학교 발전기금 명목으로 수천만원 씩을 학교에 기부한 경우도 있었다. 또 교직원을 자녀가 응시한 전형관리요원에 배정하거나 의무보전 기간이 지나지 않았는데도 OMR 카드 답안지를 분실한 경우, 정원을 초과해 모집한 경우 등 그 비리의 유형은 실로 다양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부는 이번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과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대학 편입학 전형에 관한 개선 계획을 마련하여 오는 2월 말까지 발표할 계획이라고 한다. 교육부가 새로운 편입학 개선안을 내놓는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아무리 개선책이 수없이 마련된다 하여도 대학들 스스로 원칙을 지키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한은 공염불로 그치고 말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대학들 스스로가 문제점을 찾아내고 제도를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여 편입학 시험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런 노력없이 대학의 도덕성과 신뢰성을 되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최소한 대학에서만큼은 혈연과 부(富)를 무기로 한 불공정한 경쟁이 용인되어서는 안된다. 학문의 상아탑으로서의 기본적인 교육윤리도 지키지 못한다면 더 이상 그들의 자율권을 주장하기 힘들다는 것을 대학들은 알아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학 스스로 편입 제도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발굴, 개선하여 제도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대책 마련을 다시금 촉구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