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성대신문 (webmaster@skkuw.com)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달라진 점 중에서 두드러지는 것이 실용을 중시하며 미래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는 이념을 중시하고 과거를 규명하는데 많은 힘을 쏟았던 전 정부의 방침과 대비된다는 상대적인 차이이기도 하지만 글로벌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안이 없는 선택일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은 국가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학교나 가정, 그리고 각 개인의 차원에서도 피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미래를 지향하는 것이 새 정부 들어서 갑자기 비롯된 일은 아니다.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그런 일들이 벌어져 왔다. 우리나라의 대학들도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 교수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학생들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를 경쟁적으로 벌이고 있다. 우리 대학교에서도 교수 채용이나 학사 운영, 교과 과정 등을 결정할 때 글로벌 챌린지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여러 대학에서도 비슷한 시도들을 하고 있다. 이런 것들의 밑에는 무한 경쟁의 글로벌 시대에 살아남아야 한다는 절박함이 깔려 있다. 그러다 보면 때로는 현실을 너무 넘어서는 목표를 단기간에 달성하려는 과욕을 부리기도 한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미래를 지향한다는 방향 설정 자체는 시비의 대상이 되기 어렵다. 

실용을 중시하는 것은 상황이 좀 다르다. 우리 사회 전반적으로 실용을 중시하는 풍조는 IMF 사태 이후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두드러지기 시작했는데, 최근 세계 경제가 전반적으로 어려워지면서 이 풍조는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걱정스러운 것은 실용을 좀 더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실용만이 전부인 것처럼 여기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고, 이 풍조가 대학에 까지 만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이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우리는 실용 중시에 대해서 좀 더 신중해질 필요가 있다. 과학사를 보면 기초 분야의 연구가 시간이 지나서 실용적인 기술로 발전된 예들이 많다. 우리 대학교나 우리나라의 궁극적인 경쟁력은 기초 연구에서 나올 수도 있다. 이 가능성을 원천봉쇄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어떤 경우에도 균형을 잃지 말아야 한다. 과거가 없는 현재나 미래가 있을 수 없고, 도덕이나 기초 분야를 무시한 실용은 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국가를 비롯한 모든 조직에서 정책을 결정할 때에는 과거나 도덕, 기초 원칙 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하며, 그에 대해 배려할 수도 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좋은 예이다. 또 몇몇 대학에서 실시하거나 시행하려고 하는 독립 유공자 후손에 대한 배려가 그러한 예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미래의 발전 가능성을 고려한 배려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