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신문의 역사 3 - 1974 ~ 1983

기자명 조수민 편집장 (skkusue@skkuw.com)

이 시기 성대신문은 평온했던 초창기와 달리 중후반에 들어서며 학내외 사건들로 인해 큰 변화를 맞이한다. 7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에 대한 고민이 시작됐지만, 여전히 성대신문은 학술적 측면이 강한 신문이었다. 하지만 70년대 후반에 들어서며 민주화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성대신문도 그 움직임에 발맞춰 변하기 시작했다. 대학생들의 뜨거운 외침을 담아내며 성대신문의 정체성을 찾아갔다.

▲ 점점 뜨거워지는 학생 사회의 분위기를 보도한 성대신문.

학내 소식과 학술적 측면이 강했던 초창기
이 시기의 성대신문은 총 2백 58호가 발행됐다. 1976년에는 제700호를 기점으로 기존의 4면에서 8면으로 증면해 발행하며, 좀 더 많은 학내외 소식을 담을 수 있게 됐다. 이때까지도 성대신문에 대한 학우들의 관심은 뜨거웠다. 지금과 달리 여러 소식을 접할 매체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남인복(신방 75) 동인은 “당시에는 성대신문이 학우들의 유일한 읽을거리라 많이 봤지.”라며 당시를 회고했다. 이때까지도 수습기자 선발 지원율 역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신문사는 지금과 달리 대학본부(지금의 학생회관 자리) 1층에 있었다. 600주년 기념관이 건립된 이후 대학본부가 600주년 기념관으로 옮겨가면서, 추후에 신문사는 교수회관으로 이동하게 된다. 자연과학캠퍼스의 경우 1977년 수원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학생회관 2층에 신문사가 자리 잡게 된다.
신문사 부서체계는 편집장 아래 △취재부 △조사부 △문화부 등 세 부서로 이뤄졌다. 취재부는 현재의 보도부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부서로 학내 주요 사건을 취재해 기사화했다. 문화부에서는 학우들이 문예 활동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독려하는 역할을 했다. ‘조사부’는 현재 남아있지 않은 곳으로, 신문에 필요한 여러 자료와 사진을 수집하고 보관하는 일을 담당하는 부서였다.
이 당시에 성대신문에 실리는 소재는 ‘우리 학교 소식’에 한정됐다. 1면에는 학내 주요 소식을 보도했고 2면에는 교수들의 논문 및 본사의 사설을 실었다. 3면에는 기획기사가 실렸는데, 학내에 관한 소재여야 했다. 4면에는 문화부에서 담당하는 ‘문예면’ 등을 담았다. 1976년 8면으로 증면한 이후에도 이와 같은 구성에서 크게 바뀌지 않았다. 한자와 한글을 병행해 사용했고, 세로쓰기 체제로 신문이 발행됐다. 이 당시까지만 해도 성대신문의 실리는 내용은 초창기 성대신문과 맥을 같이 했다. 대학 신문으로서의 학술적 요소가 강했기 때문이다. 현재는 많지 않은 교수들의 기고글이 실렸고 학술 관련 기획 기사도 많았다.

70년대 후반, 달라진 제작 환경
하지만 이와 같은 분위기는 70년대 중후반으로 오며 달라진다. 1974년부터 우리 학교의 수원 이전 논의가 대두되며 학내는 상당히 시끄러워진다. 그 결과 자연과학계열만 수원의 제2캠퍼스로 이전하게 됐고, 동시에 재단의 퇴진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학우들 사이에서는 재단이 퇴진해야 하는 것이 맞다는 의견과 반대로 취업 등의 이유로 퇴진하지 않는 편이 낫다는 의견이 대립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성대신문은 당시의 상황을 결과 발표 위주로 학우들에게 전달했다.
1977년 결국 삼성 재단이 퇴진하며 성대신문의 체제도 많이 바뀌게 된다. 당시 성대신문은 외부 신문사와는 작업을 진행하지 않던 중앙일보에서 조판 및 인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던 유일한 신문사였다. 그러다 삼성이 퇴진과 함께 성대신문도 중앙일보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됐다. 기자단은 이때부터 한국경제신문사로 조판장소를 바꿔 진행했다. 컴퓨터로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는 지금과 달리, 당시에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신문의 판을 만들어야 했다. 남인복 동인은 “미리 원고를 보내 두고, 문선을 하고 판을 직접 떠서 윤전기를 누르는 것까지 확인하고서야 나올 수 있었지.”라며 당시의 어려웠던 작업 환경을 기억했다.

뜨거운 목소리를 담아내기 시작하다
한편 1979년을 전후로 독재정권에 대항하는 학생 운동이 활발히 진행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성대신문의 논조도 크게 바뀌게 된다. 그간 학내 소식 보도와 학술 정보 위주였던 성대신문에서 정치적인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풍부하게 담아내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사회적인 분위기를 온전히 풀어내기가 쉽지 만은 않았다. 당시 전두환 정권은 언론에 대한 탄압을 철저히 진행했고, 대학 신문도 이를 피해 가긴 힘들었다. 전국의 대학 신문에 엄격한 검열이 가해졌으며, 이로 인해 신문을 제작하던 학생 기자들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민주화와 관련한 내용이 조금이라도 실릴 경우 바로 검열당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탄압 속에서도 대학 사회의 정의를 위한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한 기자들의 노력은 계속됐다. 국가적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신문에 실리는 사안을 두고 학교 측과의 의견 조율도 쉽지 않았다. 하지만 신문을 인쇄하는 윤전기는 멈추지 않았다. 남인복 동인은 “그때도 민감한 사안에 대한 협의는 쉽지 않았지. 하지만 기자단과 주간 교수 모두 ‘신문은 나와야 한다’는 대전제를 가지고 있었기에 신문은 항상 나올 수 있었어.” 어지러운 상황 속에서도 신문사를 꾸리는 구성원 간의 공감과 소통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